본문 바로가기
💸 가상화폐 투자일기/비트코인 (BTC)

BTC -7% 무슨 일? 2023년 8월 18일 中 헝다 , 뉴욕에서 파산보호 신청

by 환풍 2023. 8. 18.
728x90
반응형

 

중국에서 두 번째로 큰 부동산 헝다 그룹이 뉴욕 법원에 파산보호 신청했다.

 

파산 당시 비트코인 차트 움직임

2021년 12월 헝다 사태 이후의 코인 하방 차트움직임

헝다는 지난 2021년 12월 채무 원리금을 상환하지 못해 부도가 나면서, 중국 부동산 시장 거품이 꺼지고 급속히 침체에 이루었다. 이뿐만아니라, 당시 코인, 나스닥, 국내 증시또한 급격히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중국 전체 국내총생산(GDP)dml 25%를 차지하는 부동산 시장 위기는 중국 경제에 충격을 줄 뿐만아니라, 부동산에 돈이 묶인 많은 소비자들이 소비 위축으로 이어져 경기 침체현상, 디플레이션 압력 등이 일어날 위기이다.

 

헝다는 2021년 9월 현금흐름에 문제가 생기면서 디폴트를 선언하며 당시 코인차트도 쭉 빠졌었다.

상당량의 부채를 바탕으로 사업을 문어발 식으로 확장했지만, 중국 부동산 시장이 침체한데다가 중국 정부가 부동산 대출 규제에 나서면서 헝다는 부채를 감당할 수 없게 되었던 것이다.

 

자, 그렇다면 헝다와 코인의 관계는 무엇일까?

 

2021년 부터 헝다 관련 뉴스로만 2차례 급격히 하락한 적이 있다.

나는 부동산이 하락하면 그 외의 투자 자산인, 주식, 나스닥, QQQ, 코인 등으로 부동산에서 빠진 자산이 이곳으로 들어올 것이라고 생각한다. 

중국의 두번째로 큰 부동산이니 만큼 위기소식은 당연히 투자 시장에서 악재이다. 단기적으로 시장에 많은 불확실성과 변동성이 존재할 수 밖에 없지만, 장기적으로 본다면 결국 극복해낼 것이다.

 

더 큰 문제가 존재한다.

 

헝다가 중국 2위 부동산 업체라면, 바구이위안은 중국 1위 부동산 업체이다. 

바구이위안은 지난 7일 만기에 이른 액면가 10억달러 (약 1조 3300억원) 회사채 2종에 대한 이자 2250만달러(약300억원)를 갚지 못하고 있다. 30일간의 유예기간에도 이자를 갚지 못하면, 2021년 헝다가 그랬듯, 디폴트에 빠지게 된다.

결국 헝다가 밝은 수순대로 도미노 현상이 일어나며 바구이위안도 파산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상하이증권거래소와 선전증권거래소 말에 의하면 14일 바구이위안의 회사채 9종과 계열사 채권 2종등 11종 채권에 대한 거래가 정지되었다고 한다. 최근 이러한 문제로 어려윰을 겪고있는 바구이위안은 이러한 채권 상환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채권자 회의 소집 의사를 밝혀 상하이 거래소에 거래 정지를 신청했다. 

 

중국의 경기가  청년 실업률부터해서 아주 말이 아닌 상황에서 이러한 대형 악재는 단시간으로 보았을 때, 투자 시장에서 큰 악재이다. 다만, 코로나때 엄청난 하락후 V 반등이 있었듯이, 모든 상황을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

 

 

728x90
반응형

댓글